❏ javascript - 함수(function)
안녕하세요!
오늘은 js의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!
함수는 자바스크립트 속 특정 동작(기능)을 수행하는 일부 코드의 집합이며, function이라고 부릅니다.
( ・ᴗ・ )♡
1. 함수 선언
함수 선언은 아래의 그림처럼 이루어집니다.
함수 이름은 몇몇을 제외하고는 원하는 이름으로 만드시면 됩니다!
중괄호 안의 실행코드(명령)는 한 개든 수십 개, 몇백 개가 될 수 있습니다.
이렇게 선언한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은
function과 함수 이름 ;(세미콜론)을 붙여서 사용합니다.
실제로 입력하게 된다면 실행코드 안의 값이 출력이 됩니다.
2. 함수 반환 return
이러한 함수는 반환하는 키워드(return)를 사용하여 자바스크립트 속 함수에 변수를 선언하여 함수의 밖으로 데이터를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. 함수 안의 데이터는 숫자나 문자 데이터가 될 수도 있으며 개수도 많을 수도 있습니다.
3. 기명 함수와 익명 함수
기명 함수는 함수의 이름이 있는 함수입니다. 함수에 이름이 있는 경우에는 함수를 선언한다고 말합니다.
기명 함수는 함수의 이름이 있기 때문에 호출할 수 있습니다.
익명 함수는 함수의 이름이 없는 함수입니다. 함수의 이름이 없는 경우에는 함수를 표현한다고 말합니다.
익명 함수는 함수의 이름이 없기 때문에 직접 호출할 수 없습니다. 그렇기에 직접 호출을 해야 한다면
변수에 할당을 하여 호출을 합니다.
✏ 함수의 주석처리
함수의 주석처리는
/**함수의 주석처리는 이렇게 합니다.*/
/**라고 입력하면 /** */라는 가이드가 나옵니다. 그 후 엔터키를 누르면 return의 포함 여부와 함수의 파라미터 개수에 따라 자동으로 완성이 됩니다! (ᵔᵕᵔ)
✏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?
1. 함수가 갖는 기능이 필요한 경우 호출하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율성이 있습니다..
2. 코드를 여러 번 작성할 필요 없이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수정해야 하는 경우 해당 함수의 코드만 수정하면 모든 곳에 바로 반영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4. 코드가 기능별로 함수라는 하나의 코드 블록 안에 모여 있으므로 프로그램을 이해할 수 있는 가독성이 높아집니다.
세미콜론을 빠트리지 않도록 해야겠네요...!
빠트려서 계속 오류가 납니다ㅠ
( ◠ •̫̮ ◠)☆